식물보호산업기사를 필기를 준비하기 위해 어떤교재로 어떻게 공부를 하면 좋을지 다음 카페 ㅊㄱㅅㄹ, 블로그, 유튜브등 많은 사이트를 들어가서 찾아봤다.
필기시험은 총 4과목(식물병리학, 농림해충학, 농약학, 잡초방제학)으로 이루어져있다.
문제는 보기 4개중에 한개를 답으로 고르면 되는 4지선다형으로, 각 과목마다 20문제씩 총 80문제를 풀면된다.
각 과목 40점 이상, 전체 평균 60점을 넘으면 되기때문에,
한 과목에서 40점을 맞았더라도 다른 과목에서 80점을 맞아 평균 60점만 맞추면 되는 아주 합격하기 좋은 구성이다.
그럼 어떻게 공부를 해야할까?
필기시험은 객관식 문제이기 때문에 교재를 고를때는 무조건 기출문제가 많은 책을 고르자!
나는 시대고시 기획에서 나온 교재를 구매했다.(광고X)
바로 이 교재인데, 내가 이 교재를 선택한 이유는
1. 많은 기출문제
2. 문제 바로 아래에 있는 해설
이 두 가지이다.
1. 많은 기출문제
식물보호산업기사 기출문제만 보더라도 2015~2021년까지 7개년도 문제가 수록되어 있어, 문제를 따로 구해보지 않아도 된다.
또한 식물보호산업기사 뿐만 아니라 식물보호기사 기출문제도 실려있다. 물론 나는 풀지않았다...
물론 이 책도 기본적인 구성은 이론+기출이지만 이론은 읽어보지도 않았다.
나는 단시간에 최대의 효율을 내기 위해 기출문제를 풀면서 이론을 익혔다.
2. 문제 바로 아래에 있는 해설
객관식 문제집을 사다보면 해설은 두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문제와 붙어있는 해설
문제 따로 해설집 따로
나는 문제와 붙어있는 해설을 선호하는 편인데,
이유는 문제를 풀고 바로 맞든 틀리든 해설을 보며 즉시 피드백을 하고 넘어가야 이론서를 안보고 문제를 푸는것에 효율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위의 문제집은 내가 객관식 유형을 공부할 때 가장 선호하는 책의 스타일이었고,
저 책을 구매하여 일주일동안 식물보호산업기사 7개년도 기출문제만 여러번 회독하였다.
3회독쯤 되니 내용이 이해가 가면서 모의고사를 풀어도 합격은 하겠다는 느낌이 왔다.
시험장 들어갈 때 까지 나는 기출문제만 회독하였으며 총 5회독 정도 한 것 같다. 그 결과!
벼락치기에 성공했다.
[실기] 식물보호산업기사 취득 EP. 4 (0) | 2023.01.11 |
---|---|
[원서접수] 식물보호산업기사 취득 EP. 2 (0) | 2022.12.20 |
[준비] 식물보호산업기사 취득 EP. 1 (0) | 2022.12.18 |